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8

2022년 상반기 아파트 인허가, 착공, 준공 실적 2022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건축 인허가에 관한 통계이므로, 주거용 건물뿐만 아니라, 창고와 같은 상업용 건물, 공장과 같은 공업용 건물, 학교나 의료시설과 같은 교육 및 사회용 건물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입니다. 이 중 많은 사람들이 관심있는 건축 인허가 및 주거용 건물 중 아파트에 관한 실적을 보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먼저 큰 그림에서 전국 건축 인허가 현황을 보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 전국 인허가 면적은 92,758천㎡로 아파트, 창고 등의 증가로 인하여 전년 동기(81,757천㎡) 대비 11,000천㎡ (13.5%) 증가하였고, 동수는 105,243동으로 전년 동기(118,605동) 대비 13,362동으로 11.3% 감소하였습니다. (지역별) 인허가 .. 2022. 7. 26.
제2차 도로관리계획의 주요 내용(2021~2025) 도로관리계획의 개요 도로관리계획은 도로법 제6조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법정계획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수립하는 도로관리계획은 고속도로 와 일반국도를 그 대상으로 하며, 5년마다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도로관리 여건 변화 최근 도로시설 노후화, 첨단기술 발전, 폭염·미세먼지 등 환경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여건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 에 대응하기 위해 종합적인 도로관리 정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도로교량의 빠른 노후화 공용년수 30년 이상인 노후 도로시설물이 전체의 3~15% 수준이며(2019.9 기준), 특히 도로교량의 경우 10년 이내에 노후화율이 4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도로교량의 노후화 진행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노후 인프라의 증가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및.. 2022. 7. 26.
홍대에서 무료로 편안하게 책을 볼 수 있는 곳(마포리움) 홍대에 무료로 편안하고 쾌적하게 책을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저도 이번에 처음 가 보았는데요, 마포평생학습관 5층에 '마포리움'이라는 곳입니다. 공공기관 건물인데, 생각보다 깨끗하고, 넓고 쾌적해서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마포평생학습관 홍대 번화가를 지나가다가 마포평생학습관 건물을 몇 번 본적이 있습니다. 이 건물을 보는 사람 중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홍대 이 비싼 땅에 참 뜬금없는 건물이 있네..' 제가 바로 그런 사람인데요, 사실 지금이야 홍대가 강북권에서는 가장 번화한 동네가 되었지만, 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홍대보다는 신촌, 이대쪽이 더 번화한 상권이었습니다. 그 당시 홍대는 그냥 미술학원이 많은 동네로 기억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마포평생학습관과 마찬가지로 서교초등학교.. 2022. 7. 26.
우리동네에 지진이 발생한다면 집값은 얼마나 떨어질까?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진이 잘 발생하지 않지만, 만약 우리 동네에 지진이 발생한다면 집값은 얼마나 떨어지고, 언제쯤 다시 오를까요? 자주 발생하지 않는 일이지만, 과거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을 대상으로 집값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지진의 발생건수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지진의 발생빈도는 1978~1998년까지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하였을 때, 연간 평균 19.1회 발생하였으며, 1999~2020년까지는 디지털 방식으로 측정하였을 때, 연간 평균 70.6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은 우리가 느낄 수 없는 작은 진도수까지 포함된 수치이지만 생각보다 자주 지진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지진.. 2022. 7. 25.
문화비축기지 탱크야 놀자 후기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에 있는 문화비축기지를 다녀왔습니다. 문화비축기지가 어떤 역사를 가진 곳인지 이해를 하면서 둘러보면 더 재미있고, 이해도 잘 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간 정보] - 문화비축기지의 역사(구 마포석유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의 역사(구 마포석유비축기지) 마포석유비축기지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 쇼크로 인해 정유사의 평균 운용 제고가 30일 분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국가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해 있었으며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석유비축사업 eightfinity.tistory.com 문화비축기지 기본정보 오일쇼크로 석유비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석유비축기지로 사용하던 곳(1976년~2000년)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재개관(2017년~) 주.. 2022. 7. 25.
전세계약 7가지 사기유형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락 추세이고 매수세가 줄어듦에 따라 전세 또는 월세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030을 비롯한 많은 사회초년생 및 서민들은 전세금이 전재산에 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 뿐만 아니라 제 주변에 전세계약을 한다고 하면 조심하고 조심하는 편입니다. 나라에서도 전세사기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전국적으로 특별단속을 한다고 합니다. 단속도 중요하지만, 단속이라는 것도 결국 사후적인 것이라서 임차인에게는 큰 스트레스와 피해가 됩니다. 당장 나에게 닥친 일이 아니라도 전세사기가 어떤 식으로 발생하는지, 단속 대상은 어떤지를 알고 있으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전세사기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전세사기의 유형 및 단속대상입니다. 1. 무자본, 갭투자 신축빌라에서 많이 발생하.. 2022. 7. 24.
문화비축기지의 역사(구 마포석유비축기지) 마포석유비축기지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 쇼크로 인해 정유사의 평균 운용 제고가 30일 분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국가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해 있었으며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석유비축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976년 마포구 성산동 매봉산 자락에 땅을 파고 석유 저장 탱크 5개를 묻어 131만 배럴을 비축하였으며, 한국 석유개발공사에서 관리하였습니다. 1978년 난지도 쓰레기 매립과 석유비축기지의 건설이 동시에 진행되었으나, 2002년 월드컵 경기를 개최함에 따라 월드컵경기장의 주변 환경정비차원에서 난지도는 월드컵공원으로 조성되고, 500m 거리에 있는 석유비축기지는 경관 훼손 문제, 안전상의 문제로 이전되었습니다. 2000년 11월 용인으로 비축유 이송이 마무리되면서 마포석유비축기지는 .. 2022. 7. 24.
집주인은 5%, 세입자는 0% 갱신을 요구할 경우 분쟁조정심의 결과는? 임대차계약갱신권 사용 시 임차료는 기존 임대료의 5%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5%라는 숫자가 임대인, 임차인의 입장에 따라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습니다. 임차료의 조정에 집주인이든 세입자든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주택임대차분쟁조정사례집에서 제시된 경우를 참고하여 각자의 상황에 맞게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택임대차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는 분쟁 기존 임대차 계약 2019년 0월 0일에 보증금 3억 5천만 원 월세 38만 원에 임대차계약을 체결함 2021년 0월 0일 기존임대차계약의 갱신 시점에 집주인과 세입자 간에 임차료 증액에 대하여 분쟁이 발생함 집주인(임대인)의 의견 집주인(임대인)은 보증금과 월세 모두 5%씩 증액요구함 보증금은 1,750만 원 증액한 3억 6,750만 원, .. 2022.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