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10일 경기도 부천, 성남, 인천 등 5곳이 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로 신규로 지정되었습니다.
도심복합사업은 노후 도심을 공공시행으로 재개발하는 사업으로,
2021년 2월 4일 문재인 정부시절 도입되었습니다.
예정지구로 신규 지정된 사업지구의 위치를 알아보겠습니다.
도심복합사업이란?
도심복합사업이란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라고도 하는데요,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 등 노후 도심에서 공공시행으로 용적률 등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여,
양질의 주택을 신속히 공급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재개발 사업입니다.
도심복합사업은 2021년 2월 4일 문재인정부 시절에 도입되었습니다.
문재인정부 시절에 도심복합사업의 이름은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이었습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공공주도 3080+라는 이름에서 도심복합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도심복합사업에서 예정지구로 신규 지정된 지역도 아예 새롭게 지정된 것이 아니라,
그 전부터 사업지로 대상에 있는 곳이었습니다.
도심복합사업 신규 예정지구
2023년 7월 10일에 예정지구로 지정된 사업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번 | 사업지구 | 지역 | 유형 | 면적 | 공급 세대수 |
1 | 중동역 동측 | 경기(부천) | 역세권 | 49,959㎡ | 1,536호 |
2 | 중동역 서측 | 경기(부천) | 역세권 | 53,930㎡ | 1,680호 |
3 | 소사역 북측 | 경기(부천) | 역세권 | 41,671㎡ | 1,350호 |
4 | 금광2동 | 경기(성남) | 저층주거지 | 139,565㎡ | 3,056호 |
5 | 동암역 남측 | 인천 | 역세권 | 53,205㎡ | 1,800호 |
[1. 중동역 동측]
- (사업명) 중동역 동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 (유 형) 주거상업고밀지구(역세권)
- (위 치) 경기도 부천시중동 863-1 일원
- (면 적) 49,959㎡
- (예상 세대수) 1,536세대
[2. 중동역 서측]
- (사업명) 중동역 서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 (유 형) 주거상업고밀지구(역세권)
- (위 치) 경기도 부천시상동 329-8 일원
- (면 적) 53,930㎡
- (예상 세대수) 1,680세
[3. 소사역 북측]
- (사업명) 소사역 북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 (유 형) 주거상업고밀지구(역세권)
- (위 치)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 43-3 일원
- (면 적) 41,671㎡
- (예상 세대수) 1,350세대
[4. 금광2동]
- (사업명) 금광2동 행정복지센터 북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 (유 형) 주택공급활성화지구(저층)
- (위 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금광2동 3546 일원
- (면 적) 139,565㎡
- (예상 세대수) 3,056세대
[5. 동암역 남측]
- (사업명) 동암역 남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 (유 형) 주거상업고밀지구(역세권)
- (위 치) 인천광역시 부평구십정동 518-4 일원 / 남동구 간석동 218 일원
- (면 적) 53,205㎡
- (예상 세대수) 1,800세대
예정지구로 지정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재개발이 추진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해당지역 주민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율은 주민의 2/3이상이면서 토지면적 1/2이상입니다.
동의율이 기준을 넘을 경우, 본 지구 지정을 위한 절차가 시작됩니다.
[도심복합사업 절차]
예비지구지정(현재위치)→ 동의확보 → 지구지정 → 설계공모 → 통합심의 → 사업승인 → 보상,이주 → 철거 → 시공 → 입주
'부동산 기초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벌이 맞벌이 가사분담 시간 가사분담률 가사분담실태 육아휴직 비율 (0) | 2023.07.15 |
---|---|
성남시 정자교 붕괴 사망 사고 사례 원인 켄틸레버 교량 제설제 손상 (0) | 2023.07.12 |
2023년 4월 전국 서울 수도권 지방 인허가 미분양 거래량 (1) | 2023.06.01 |
2023년 3월 전국 서울 수도권 지방 미분양 주택 거래량 인허가 (1) | 2023.04.28 |
장기전세 임대주택 경쟁률 강동리엔파크 마곡엠밸리 고덕아이파크 (0) | 2023.04.13 |
댓글